4. 프로세스의(Process)의 생성
·
CS/Operating System
프로세스의 연산들(Operations on Processes) 부모 프로세스(Parent Process)와 자식 프로세스(Child Process) 운영체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스의 생성: 하나의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스의 종료 - 기존에 생성한 프로세스: 부모 프로세스 - 기존 프로세스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프로세스: 자식 프로세스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의 실행관계 프로세스 실행의 두 가지 가능성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 동시 실행 부모 프로세스는 자식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림 프로세스 주소 공간의 두 가지 가능성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와 동일한 프로그램을 수행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와 다르게 새로운 프로그램을..
3. 프로세스(Process)의 이해
·
CS/Operating System
1. 프로세스의 개념(Process Concept) 1.1 프로세스란 무엇인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한다. 프로세스는 운영체제에서의 작업 단위이다. 프로세스의 구성 요소 메모리 (주소 공간) - 명령어 - 데이터 섹션 레지스터 - 프로그램 카운터 PC - 스택 포인터 SP 프로세스는 작업의 최소 단위인 Task를 완료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자원이 필요하다. CPU의 점유 메모리(memory) 파일(files) 입/출력 장치(I/O devices) 프로세스와 프로그램의 차이점 프로그램 - 정적 코드와 정적 데이터 프로세스 - 코드와 데이터의 동적 인스턴스 동일한 프로그램의 여러 프로세스 instance를 가질 수 있다. (ex. 크롬에서의 여러 개의 창,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ls"를 실..
2. 운영체제 구조(Operating System Structure)
·
CS/Operating System
2. 운영체제 구조(Operating-System Structure) 1.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서비스(Operating System Service) 1.1 유저와 운영체제 간의 인터페이스(User and Operating-System Interface) 1.2 시스템 콜(System Calls) 1.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서비스(Operating System Service)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서 운영체제는 다음과 같은 환경을 제공한다.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프로그램의 실행(Program execution) 입출력 연산(I/O Operation) 파일 시스템 조작(File-system manipulation) 에러 탐색(Error detection) 자원 할당(Resource al..
1. 운영체제(OperatingSystem) 소개
·
CS/Operating System
1. 운영체제는 무엇을 하는가? 운영체제는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사이에 위치한다. 사용자 —(서비스 요청)—> 응용 프로그램 —(메시지 전달)—> 운영체제 —(작동시킴)—> 하드웨어 과 같은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다. ⇒ 운영체제는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이고, 유저와 하드웨어 사이에서 중계자로서 응용 프로그램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컴퓨터 위에서 실행되는 하나의 프로그램 Kernel로도 정의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유저와 하드웨어 사이의 중계자 2.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Computer-System Organization) classic한 컴퓨터는 1개 이상의 CPU로 구성되고,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 제어기(Device Controller)로 연결되어 있다. CPU는..